질염이란?
질내에는 다양한 종류의 정상 세균이 존재합니다. 질은 이 세균들에 의해 약산성을 나타냅니다.
만약 정상 세균의 종류 변화가 나타날 경우 균형이 무너져 질염을 일으키게 됩니다.
질염은 질 분비물, 냄새, 가려움증, 따끔거림, 성교통, 배뇨통 등의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질염 종류
세균성 질염 | 칸디다성 질염 | 트리코모나스 질염 | |
원인 | 잦은 성교, 잘못된 질 세척, 스트레스 및 피로 누적(질내 산도 변화에 따른 세균(주로 가드넬라균)의 과증식) | 임신, 당뇨, 스트레스, 피로 등 면역력이 떨어지는 상태나 질의 위생 상태 불량 등에 의한 'Candida albicans' 원인균 과증식 | 질편모충(Trichomonas vaginalis) |
증상 | 생선비린내와 비슷한 냄새를 동반한 질 분비물 증가, 가려움증, 따끔거림 등 육안적 냉 소견, 현미경 검사 적절한 항생제복용, 질 소독 치료 | 치즈찌꺼기와 비슷한 냄새를 동반한 질 분비물, 가려움증, 따끔거림, 외음부가 붓거나 홍반을 띔 | 다량의 고름 같은 분비물, 냄새 및 거품이 있는 분비물, 질 가려움증, 따가움, 딸기 모양의 자궁경부 모양 변화 |
진단 | 육안적 냉 소견, 현미경 검사 | 육안적 냉 소견, 현미경 검사 | 육안적 냉 소견, 현미경 검사 |
치료 | 적절한 항생제복용, 질 소독 치료 | 적절한 항생제 복용 및 외용연고도포, 질 소독 치료 | 적절한 항생제복용, 질 소독 치료 |
질염 예방법
골반염이란?
임질이나 클라미디아 같은 병원균이 자궁에 침투해 골반 내 장기(난소, 난관 등)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원인균이 질이나 자궁경부에서 염증을 일으킬 때 제대로 치료되지 않을 경우 균이 자궁을 통해 올라가 골반염을 야기합니다.
골반염 주요증상
골반염 진단
진단을 위해 초음파검사, 컴퓨터단층촬영(CT) 등의 영상 검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치료 시 초기 상태라면 약물 치료, 주사요법, 질 소독 등이 시행되는데, 고열이 동반되거나 초음파 상 고름집이 있는 경우 입원해 항생제 치료를 받아야 하며, 상황에 따라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골반염 치료
골반염은 초기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병이 악화되면 골반 내 장기 유착이 생겨 만성 복통, 자궁 외 임신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하면 불임까지 초래하게 됩니다. 보통 먹는 약과 주사 및 질 소독으로 치료하지만 심할 경우 항생제 치료를 받아야 할 수도 있습니다.
방광염 이란?
방광염이란 세균이 요도를 거쳐 방광에 감염되어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심하게 되면 신장까지 염증을 초래하는 신우신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는 남성보다 요도가 짧아 쉽게 발생합니다.
방광염 증상
방광염 진단
소변 검사를 통해 염증 및 출혈, 세균 여부를 검사하게 됩니다. 때에 따라 소변 배양검사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소변 검사 시 하루 이상의 기간이 소요됬지만 최근에는 1~3분만에 소변검사를 할 수 있는 키트가 개발되어 신속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방광염 치료 및 관리
3일 정도 항생제 치료를 시행할 경우 대부분 호전되지만, 재발 방지를 위해 물을 자주 마시고 소변을 참지 않아야 하며, 평소 세정제 등으로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피로, 스트레스 등에 의해 면역력이 저하되는 것도 피해야 합니다.
요실금 이란?
요실금이란 자신도 모르게 소변을 보는 질환입니다.
특히 우리나라 여성의 40%가 요실금을 경험할 만큼 흔한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요실금 종류별 증상
절박성 요실금 | 소변을 참기가 어려워 자주 소변을 보고, 소변이 마려운 순간 참지 못하고 그대로 흘려 버리는 경우입니다. 방광이 과민한 수축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생기는 증상입니다. |
복압성 요실금 | 크게 웃거나 재채기, 운동 등을 할 때처럼 배에 힘이 들어가면 소변이 새는 경우입니다. 다산/난산, 여성호르몬 감소, 비만 등의 원인으로 골반 근육이 느슨해져 요도 괄약근이 약해지기 때문에 생기는 증상입니다. |
복합성 요실금 | 절박성 요실금과 복압성 요실금 증상이 함께 존재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복압성 요실금 환자의 30%는 절박성 요실금을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
심인성 요실금 | 기능성 요실금이라고도 부릅니다. 방광과 요도 기능은 정상이나 특별한 신경질환 또는 정신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치매 노인들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
일류성 요실금 | 방광에 소변이 가득 차서 방광 저장 한계치에 다다를 때 넘쳐 흘러나오는 현상입니다. 방광이 수축하지 않거나 오랫동안 소변 배출구가 막혀 있는 환자에게 주로 나타납니다. |
요실금 치료법
정해진 시간에 따라 회음 근육을 꽉 죄었다가 다시 푸는 과정을 반복하는 운동법입니다.
방광 훈련(행동 치료)
증상이 생기기 전 미리 배뇨를 하여 사전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전기 자극법
질이나 항문 주위, 골반 부위를 전기 자극하는 방법입니다. 척수와 대뇌 반사를 통해 불필요한 방광 수축을 억제하는 원리입니다.
약물 치료법
교감 신경 작용제를 이용합니다. 골반 근육을 튼튼하게 만들어주는 약물, 방광 근육 수축력을 높여주는 약물을 활용합니다.
수술적 치료
하복부 절개나 질벽 절개법 또는 복강경을 이용하여 요실금을 치료합니다.
야간진료 (월/목) 오전 09:30 ~ 오후 8:00
토요일 오전 09:00 ~ 오후 1:30
(토는 점심시간 없음)
*이재훈 대표원장님 25년6월부터는 수요일
휴진 입니다
인천광역시 서구 청마로 19번길 20, 3층
(당하동, 금진빌딩)
Incheon, Korea
TEL : 032 721 5942
FAX : 032 713 4552